kainuri

    KAIST Vision

  • KAIST
  • 입학처
  • 카이누리

우)34141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학로 291 KAIST, 창의학습관(E11) 305호

COPYRIGHT (C) 2025 by KAIST Student Ambassador KAINURI. ALL RIGHTS RESERVED.

첨단과학 융합수업으로 신경과학을 만나다, 동물 신경 해부학 및 신경 생리학 실험

글·사진 손예율 학생기자 syy0201@kaist.ac.kr

Header Image
ⓒshutterstock

‘동물 신경해부학 및 신경 생리학 실험’은 뇌인지과학과의 전공 수업이다. 학부 과정에서 뇌과학 분야로 실험할 수 있는 과목이 한정적인데, 이 수업은 저학년도 신청할 수 있어 학생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다. 또 단순히 실험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인공지능(AI)과 데이터 과학을 활용해 뇌 기능을 탐구하고 분석하는 첨단 과학 융합 수업이란 점도 특별하다. KAIST 뇌인지과학과의 인기 수업을 들여다보자.

뇌와 신경계 구조를 배우는 비교 신경 해부학

수업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이 수업에선 ‘비교 신경 해부학’과 ‘신경 생리학’을 한 학기 동안 배운다. 우선 비교 신경 해부학은 동물들의 서로 다른 뇌와 신경계 구조를 연구하는 분야다. 이 수업에서는 실제 동물의 신경을 해부하진 않지만,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활용해 해부를 체험해 볼 수 있다. 또한 실험 결과는 AI를 통해 정리된다. 학생들은 시뮬레이션으로 해부를 경험하고, 실제 데이터와 어떤 점이 다른지 비교 분석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를 바탕으로 동물의 뇌가 어떻게 진화했는지, 어떻게 변화했는지 예측해 볼 수 있다.

뇌와 신경계의 작동 과정을 배우는 신경 생리학

신경 생리학은 뇌와 신경계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연구하는 분야다. 신경 해부학이 신경계의 구조에 중점을 둔다면, 신경 생리학은 그 기능에 집중한다. 신경 생리학의 핵심 개념은 ‘뉴런’이다. 뉴런은 몸 전체에 퍼져 있는 신경망을 통해 연결되며, 우리가 생각하고 움직이며 감정을 느낄 수 있도록 돕는다. 해당 수업에선 학생들이 자신의 뇌 활동을 직접 관찰할 수 있는 실습을 함께 진행해, 신경 생리학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

치매 치료 관련 데모 수업

이 수업에서 눈여겨볼 커리큘럼 중 하나는 ‘치매 치료 관련 데모 수업’이다. 뇌 질환 환자는 혼자 있을 때 일반인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므로, 다양한 상황에서 관찰해야 한다. 치매 치료 관련 데모 수업에선 자기공명영상장치(fMRI) 기기를 활용해 학생들이 다양한 상황에서 뇌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어떤 생각을 할 때 뇌의 활동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이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현재 개발 중인 뇌 질환 치료법, 그리고 이러한 치료법이 직면한 문제점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에 대해 고민하는 시간을 가진다. 즉 이론 수업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습으로 배운 내용을 직접 확인하고 적용해 보는 것이다.

치매 치료 관련 데모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

치매 치료 관련 데모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

fMRI 기기로, 혈류와 관련된 변화를 감지해 뇌 활동을 측정한다. 이 기기를 쓰면 뇌 활동에 따라 특정 뇌 부분의 색이 바뀐다.

fMRI 기기로, 혈류와 관련된 변화를 감지해 뇌 활동을 측정한다. 이 기기를 쓰면 뇌 활동에 따라 특정 뇌 부분의 색이 바뀐다.

최민이 KAIST 뇌인지과학과 교수 인터뷰

최민이 KAIST 뇌인지과학과 교수.

최민이 KAIST 뇌인지과학과 교수.

Q. 지난해 동물 신경 해부학 및 신경 생리학 실험이 우수강의상을 받았다. 비결이 무엇인가? 학생 중심의 수업을 했기 때문이라고 본다. 무조건적인 오프라인 수업보다는 학생들에게 필요한 자료를 끊임없이 제공했다. 또 실험 수업 특성상 보고서를 작성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학생 개개인에게 직접 피드백을 주고 피드백-고쳐쓰기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해 학생들이 점차 완성도 있는 보고서를 쓸 수 있게 만들어 좋은 평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Q. 이 수업을 듣는 학생들이 수업을 통해 배우거나 느꼈으면 하는 것이 있는가? 실습 수업은 배운 지식을 실제로 활용해보는 소중한 시간이다. 다만 교과서에 있는 내용을 그대로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성’을 경험하고 상상할 수 있으면 좋겠다. 어떤 형태든 학생들 스스로가 의미 있는 실습 시간을 만들어 보람을 느꼈으면 좋겠다. Q. 이 수업을 어떤 학생들에게 추천하고 싶은가? 학창시절의 나는 실습 수업이 재미없었다. 교과서에 적힌 방법을 그대로 따라해보는 고전적인 그룹 실습은 과정도 결과도 뻔해 재미가 없었다. 나처럼 고전적 그룹 실습이 재미없는 학생들이 이 수업을 들어봤으면 좋겠다.

기사 이미지

잡(Job)입수사

지속가능한 기업을 위한 탄소중립 파트너, 엔츠

기사 이미지

연구실 Zoom-in

대한민국 로봇 기반 자동화를 선도한다, KAIST DAIM 랩